☆★

황도12궁 이야기...

높푸른 하늘 2004. 9. 12. 15:23

  봄과 가을의 춘분과 추분 때는 태양이 적도 바로 위에 있지만 겨울에는 남반구 상공에 있어 지구의 남반구를 수직으로 비추기 때문에 북반구에서 보면 태양의 고도가 아주 낮아 보인다. 그러나 여름에는 태양이 북반구를 수직으로 비추게 되어 태양의 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태양은 하늘에서 황도 12궁을 따라 움직이면서 적도를 중심으로 아래위로 움직이게 된다.

 

  태양이 황도 12궁을 따라 움직여 가는 것은 지구가 공전하기 때문이고 적도를 중심으로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왔다 하는 것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태양이 적도를 남쪽으로 북쪽으로 지나가는 지점이 춘분점이다. 현재 춘분점은 황도 12궁의 마지막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에 있다. 따라서 태양이 물고기자리에 있을 때는 적도 바로 위에 있게 된다.

 

   황도 제 1궁인 양자리에 있던 춘분점이 세차운동에 따라 물고기자리로 옮겨왔기 때문이다. 황도 12궁은 양자리에서 시작하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궁이라는 것은 원래 중국에서 별자리를 나타내던 말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관습에 의해 황도 상에 있는 12개의 별자리를 차례로 황도 제1궁, 제2궁 등으로 부르고 있다. 태양뿐만 아니라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도 황도를 따라 움직이므로 황도를 이루는 별자리와 황도 상에 있는 밝은 별들의 위치를 알아두면 행성을 찾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이 움직여 가는 길인 백도는 황도와 약간 기울어져 있지만 대체로 황도와 비슷하다. 따라서 하늘을 가장 열심히 달리고 있는 이 움직여 가는 길을 살펴보면 황도가 어디를 지나는지 알 수 있다. 태양은 황도 상에서 하나의 별자리를 옮겨가는 데 1달 정도 걸리지만 은 약 2.5일이면 한 별자리씩 옮겨간다. 이 매일 50분씩 늦게 뜨는 것은 달이 이렇게 매일 늦게 뜨는 별자리 쪽으로 옮겨가기 때문이다. 각도로 보면 달은 하루에 15도씩 움직여간다. 따라서 달이 하루에 가는 거리는 팔을 길게 뻗었을 때 한 뼘이 조금 넘는 거리이다.

 

  행성들은 행성의 공전 궤도에 따라서 황도 상에서 옮겨가는 속도가 다르다. 공전 궤도가 큰 목성토성은 꽤 오랫동안 같은 별자리에 머물러 있지만 태양 가까이 있는 수성, 금성, 화성은 빨리 자리를 옮겨간다. 목성의 공전 주기는 약 11.9년이다. 따라서 목성은 일 년에 별자리를 하나씩 옮겨가게 된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목성을 세차성이라고도 했다. 목성이 있는 별자리가 그해의 별자리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구도 태양을 공전하면서 서로 다른 속도로 공전하고 있는 행성들의 움직임을 보게 되므로 행성들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보인다. 지구보다 바깥쪽에서 태양을 돌고 있는 행성들은 지구보다 느리게 태양을 돌고 있으므로 앞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뒤로 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것을 행성의 겉보기 역행운동이라고 한다.

 

  행성의 역행운동을 가장 잘 관측할 수 있는 행성은 화성이다. 목성이나 토성에서도 행성이 뒤로 가는 운동이 관측되지만 워낙 천천히 움직여가기 때문에 오랫동안 자세히 관측하지 않으면 뒤로 간 것을 눈치채기 힘들다. 그러나 화성은 며칠 사이에도 눈에 띌 만큼 뒤로 간다. 한 계절동안 오며 가며 화성에 눈길을 주다보면 화성이 거의 별자리 하나를 뒤로 가다가 다시 앞으로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구가 정지해 있다고 믿었던 옛날에는 이러한 행성의 역행운동은 참으로 성명하기 힘든 문제였다. 그러나 지구도 다른 행성들과 같이 태양을 돌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역행운동은 실제로 뒤로 가는 것이 아니라 행성의 공전속도가 서로 달라서 그렇게 보이는 현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황도를 이루는 별자리 중에서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전갈자리 같이 밝은 별을 가지고 있는 큰 별자리도 있지만 게자리, 천칭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같이 어두운 별로만 이루어진 희미한 별자리도 있다. 따라서 황도 12궁을 전부 찾아보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일년 동안 규칙적으로 시골에 나가 찬찬히 찾아보아야 12개의 별자리를 전부 찾아낼 수 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시오페이아  (0) 2004.09.14
태양길 따라... 별 따라...  (0) 2004.09.13
큰곰자리  (0) 2004.09.12
큰곰자리  (0) 2004.09.12
큰 곰자리(Ursa Major)  (0) 2004.09.10